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Server Driven UI란? 클라이언트 배포 없이 UI를 실시간 변경하는 방법

by tricks 2025. 2. 1.

Server Driven UI란?

Server Driven UI (SDUI)는 클라이언트(앱, 웹)가 UI를 직접 정의하는 것이 아니라, 서버에서 UI의 구조 및 내용을 결정하고 클라이언트가 이를 해석하여 화면을 그리는 방식입니다. 이는 기존의 클라이언트 중심 UI 개발 방식과 대비되는 개념입니다.

 

Server Driven UI

🔷 SDUI의 주요 특징

  1. 서버에서 UI 정의
    • UI 컴포넌트와 화면 구성을 서버에서 JSON 또는 다른 포맷으로 제공
    • 클라이언트는 이 데이터를 해석하여 화면을 렌더링
  2. 빠른 배포 & 유지보수 용이
    • UI 변경이 필요할 때 클라이언트 앱을 다시 배포할 필요 없이 서버에서 수정 가능
    • 앱 스토어 심사 없이 UI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가능
  3. 플랫폼 간 일관성 유지
    • 동일한 UI 정의를 웹, iOS, Android 등 여러 플랫폼에서 공유 가능
    • 일관된 사용자 경험(UX) 제공
  4. 동적 UI 조정 가능
    • A/B 테스트, 사용자 맞춤 UI, 기능 플래그(Feature Flags) 등에 활용
    • 사용자 환경에 따라 UI 구성을 서버에서 조절

🔷 Server Driven UI의 예제

1️⃣ 서버에서 JSON 형식으로 UI 구성 제공

{
  "type": "screen",
  "title": "My Profile",
  "components": [
    {
      "type": "text",
      "value": "Hello, User!"
    },
    {
      "type": "button",
      "text": "Edit Profile",
      "action": "/edit-profile"
    }
  ]
}

2️⃣ 클라이언트에서 JSON을 해석하여 UI 렌더링 (React 예제)

const renderComponent = (component) => {
  switch (component.type) {
    case "text":
      return <p>{component.value}</p>;
    case "button":
      return <button onClick={() => navigate(component.action)}>{component.text}</button>;
    default:
      return null;
  }
};

const ServerDrivenUI = ({ jsonData }) => {
  return (
    <div>
      <h1>{jsonData.title}</h1>
      {jsonData.components.map((comp, index) => (
        <div key={index}>{renderComponent(comp)}</div>
      ))}
    </div>
  );
};

🔷 SDUI의 장점 & 단점

장점 단점
클라이언트 배포 없이 UI 변경 가능 복잡한 UI 로직은 클라이언트 쪽이 더 적합할 수 있음
A/B 테스트 및 동적 UI 적용 용이 클라이언트에서 미리 정의된 UI가 없으면 초기 로딩이 느릴 수 있음
플랫폼 간 UI 일관성 유지 서버 응답이 UI 렌더링에 영향을 줄 수 있음 (지연 발생 가능)

🔷 SDUI가 적합한 경우

  • 빠른 UI 변경이 필요한 서비스 (예: 뉴스, 광고, 프로모션 배너)
  • 다수의 플랫폼(iOS, Android, Web)에서 UI를 일관되게 유지해야 하는 경우
  • A/B 테스트나 사용자 맞춤 UI를 쉽게 적용하려는 경우

🚀 결론:
Server Driven UI는 UI의 유연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여주는 강력한 방식입니다. 하지만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협업이 필요하며, 모든 UI에 적합한 것은 아니므로 프로젝트 특성에 따라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댓글